내몽골 자치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몽골 자치구는 중국 북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몽골,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중국에서 세 번째로 큰 행정 구역이다. 지리적으로는 동서로 길게 뻗어 있으며, 다양한 지형과 기후를 보인다. 역사는 흉노, 선비, 거란 등 유목 민족의 활동 무대였으며, 칭기즈 칸의 몽골 제국 시기에는 중요한 지역이었다. 17세기에 만주족에 복속되었으며, 중화민국 시기를 거쳐 1947년 내몽골 자치구가 설립되었다. 정치적으로는 중국 헌법에 따라 제한적인 자치권을 가지며, 몽골족이 주석을 맡는 것이 관례이나, 중국 공산당 서기가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한다. 행정 구역은 9개의 지급시와 3개의 맹으로 구성된다. 경제는 농업, 광업, 공업, 서비스업 등 다양하며, 석탄, 희토류 등 광물 자원이 풍부하다. 주민은 한족이 다수를 차지하며, 몽골족, 만주족, 후이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몽골어와 중국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몽골어 사용은 감소 추세에 있다. 문화적으로는 몽골 유목 전통이 강하며, 다양한 민족의 문화가 공존한다. 관광 자원으로는 사원, 초원, 사막, 우주 발사 기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내몽골 - 진어
진어는 산시성에서 유래한 중국어 방언으로, 입성을 성문 파열음 형태로 보존하며 병주 방언, 뤼량 방언 등 8개의 하위 방언으로 분류된다. - 내몽골 - 오르도스부
15세기 몽골 부족 연합에서 시작된 오르도스부는 칭기스 칸의 영묘를 수호하며, 다얀 칸에 의해 재통일된 몽골에 복속, 알탄 칸 시대를 거쳐 청나라 지배 아래 7개의 기로 재편되었고, 현재 내몽골 자치구 오르도스 시의 기원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몽골족 자치지방 - 첸궈얼뤄쓰 몽골족 자치현
첸궈얼뤄쓰 몽골족 자치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쑹위안 시에 위치하며 1956년에 설치되었고, 차간호가 있으며 쾨펜의 습윤 대륙성 기후를 나타낸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몽골족 자치지방 -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는 칭하이성 서부에 위치하며 티베트고원 북부의 차이다무 분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민족(한족, 티베트족, 몽골족, 후이족 등)이 거주하는 자치주로, 3개의 현급시, 3개의 현, 1개의 행정위원회를 관할하며 차카 염호와 칭하이-티베트 철도가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춘시
창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성도로, 부여의 수도였고 만주국의 수도 신징으로 불렸으며, 현재 자동차, 영화 산업 등의 중심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자딩구
자딩구는 상하이시의 시할구로, 1218년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면적은 약 463.9km²이며, 자동차 산업과 F1 중국 그랑프리가 열리는 곳이다.
내몽골 자치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및 지도 정보 | |
![]() | |
![]()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내몽골 자치구 |
중국어 표기 | 内蒙古自治区(Nèi Měnggǔ Zìzhìqū) |
몽골어 표기 | (Öbür Mongγol-un Öbertegen Jasaqu Orun) |
약칭 | 내몽골(NM, 蒙) |
행정 구역 유형 | 자치구 |
수도 | 후허하오터 |
최대 도시 | 바오터우 |
하위 행정 구역 | 12개 지급시, 103개 현, 1025개 향 및 가도 |
면적 | 1,183,000 제곱킬로미터 |
면적 순위 | 중국 3위 |
최고 고도 | 3556 미터 |
최고 지점 | 허란 산 주봉 |
인구 통계 | |
인구 (2020년) | 24,049,155명 |
인구 순위 | 중국 25위 |
인구 밀도 | 20.1 명/제곱킬로미터 |
인구 밀도 순위 | 28위 |
민족 구성 | 한족 78.7%, 몽골족 17.7%, 기타 3.6% |
언어 및 방언 | 표준중국어, 몽골어, 오이라트어, 부랴트어, 다구르어, 에벤키어, 진어 |
정치 및 정부 | |
정치 체제 | 자치구 |
관할 기관 | 내몽골 자치구 인민대표대회 |
당 서기 | 쑨샤오청 |
인민대표대회 주임 | 쑨샤오청 |
정부 주석 | 왕리샤 |
CPPCC 주석 | 장옌쿤 |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 | 58명 |
경제 | |
GDP (2023년) | 2조 4,630억 위안 (미화 3,490억 달러) |
GDP 순위 | 중국 21위 |
1인당 GDP (2023년) | 102,677 위안 (미화 14,571 달러) |
1인당 GDP 순위 | 중국 8위 |
기타 정보 | |
ISO 3166-2 코드 | CN-NM |
인간 개발 지수 (2022년) | 0.798 (높음) |
인간 개발 지수 순위 | 중국 8위 |
공식 웹사이트 | 중국어 공식 웹사이트 몽골어 공식 웹사이트 |
2. 지리
중화인민공화국 북부에 위치한 성급 자치구로, 동서로 길게 뻗어 있다. 총 면적은 1183000km2로 중화인민공화국 전체 면적의 12%를 차지하며, 신장, 시짱에 이어 세 번째로 큰 행정 구역이다. 남쪽으로는 동쪽부터 차례로 헤이룽장성, 지린성, 랴오닝성, 허베이성, 산서성, 섬서성, 닝샤 후이족 자치구, 간쑤성의 8개 성급 행정구와 접하고 있어, 산서성과 함께 가장 많은 성급 행정구와 접경하는 지역이다. 북쪽으로는 몽골,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수도는 후허하오터이다. 1947년, 과거 중화민국 시절의 쑤이위안, 차하얼, 러허, 랴오베이, 싱안의 각 성과 간쑤, 닝샤의 북부 지역을 통합하여 설립되었다.
광대한 면적 때문에 북중국에 속하면서도 일부 지역은 동북중국과 서북중국에도 걸쳐 있다. 지리적으로 동부와 서부로 나뉘기도 하는데, 동부 지역은 퉁랴오, 치펑, 하이랄, 우란하오터 등이 주요 도시이며 중국 동북부(구 만주)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서부 지역은 바오터우, 후허하오터, 오르도스 등이 주요 도시이며 중국 북서부에 포함된다.
대부분 평균 해발 1200m 정도의 고원 지대로, 완만한 구릉과 넓은 평원, 분지가 광대한 초원을 이루고 있다. 몽골과는 고비 사막을 사이에 두고 접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유목민의 활동 무대였으며 목축업이 성행하였다. 청나라 후기부터 한족 농민의 대규모 이주가 있었고, 농업 개발 과정에서 사막화가 진행되는 등 환경 문제도 겪고 있다.[94]
2. 1. 지형


내몽골 자치구는 동서로 길게 뻗어 있으며, 남쪽으로는 동쪽부터 차례로 헤이룽장성, 지린성, 랴오닝성, 허베이성, 산서성, 섬서성, 닝샤 후이족 자치구, 간쑤성과 접한다. 북쪽으로는 몽골,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총 면적은 1183000km2로 중국 전체 면적의 12%를 차지하며, 중화인민공화국 내에서 세 번째로 큰 행정 구역이다. 이는 일본 면적의 약 3배에 해당한다.
광대한 면적 때문에 북중국에 속하면서도 일부 지역은 동북중국과 서북중국에도 걸쳐 있다. 총 8개의 성급 행정구와 경계를 접하고 있어, 산서성과 함께 가장 많은 성급 행정구와 접경하는 지역이다. 국경의 대부분은 몽골과 접하며, 일부는 러시아의 자바이칼 지방과도 국경을 접한다.
지형적으로 내몽골은 대부분 평균 해발 고도 1200m 정도의 고원 지대로, 넓은 황토와 사막 퇴적물로 덮여 있다. 내몽골 고원은 해발 600m에서 1400m 사이이며,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으며 남쪽이 높고 북쪽이 낮은 형태를 보인다. 완만한 구릉과 넓은 평원, 분지가 광대한 초원을 이루고 있다. 몽골과는 고비 사막을 사이에 두고 있으며, 이 지리적 특징 때문에 중국 역사서에는 '막남(漠南)'이라는 표현도 등장한다.[95]
동부에는 대흥안령산맥이 남북으로 약 3000km에 걸쳐 뻗어 있으며, 동서 방향으로는 음산산맥이 자리 잡고 있다. 북부의 흥안령산맥 지역은 중생대에 형성되었으며, 기온이 서늘하여 느릅나무, 물푸레나무, 자작나무, 몽골참나무와 여러 종류의 소나무, 가문비나무가 우거진 숲이 발달했다. 특히 하이랄구 북쪽의 불연속 순상층 지역에서는 숲이 거의 침엽수림으로 이루어져 있다. 남쪽 지역의 경우, 동쪽은 초원이 주요 식생이며 건조한 서쪽은 식생이 매우 희박하여 목축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자치구의 극남서쪽에는 티베트고원의 가장자리가 있으며, 최고봉인 후란산맥의 주봉은 해발 3556m에 달하며, 현재도 짧은 시간 간격으로 융기하고 있다.[38]
지질학적으로 내몽골은 대부분 기울어지고 퇴적된 선캄브리아기 지괴인 화북 강괴의 북쪽에 위치한다. 오래되고 풍화된 암석이 깊은 퇴적층 아래에 놓여 있어 주요 광산 지대로 평가받는다. 특히 석탄, 철광석, 희토류 광물 매장량이 풍부하여 오늘날 주요 산업 지역으로 발전하고 있다.
2. 2. 기후
길쭉한 형태 때문에 내몽골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사계절 몬순 기후를 보인다. 겨울은 매우 길고, 춥고, 건조하며, 잦은 눈보라가 몰아치지만, 강설량이 적어 내몽골에는 가장 높은 헬란 산맥에도 현대 빙하가 없다.[38] 봄은 짧고 온화하며 건조하며, 위험한 대규모 황사가 발생하는 반면, 여름은 서쪽을 제외하고는 매우 따뜻하고 더운 편이며 비교적 습하다. 가을은 짧고 꾸준히 기온이 내려가며, 북쪽은 10월, 남쪽은 11월에 0°C 이하로 떨어진다.

공식적으로 내몽골 대부분은 냉건조 기후 또는 스텝 기후(쾨펜 ''BWk, BSk'' )로 분류된다. 이 외의 작은 부분은 북동쪽의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Dwa/Dwb'') 또는 아한대 기후(쾨펜 ''Dwc'')로 분류된다. 후룬베이얼 근처의 극북 지역이 여기에 해당한다.[39]
내몽골 자치구는 점차 심각해지는 사막화와 빈번한 모래폭풍으로 인해 농업 피해가 증가하고 가계 소득이 감소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40]
도시 | 7월 (°C) | 1월 (°C) |
---|---|---|
바오터우 | 29.6/17.1 | −4.1/–16.8 |
바야너얼 | 30.7/17.9 | −3.3/–15.1 |
후허하오터 | 28.5/16.4 | −5/–16.9 |
오르도스 | 26.7/15.8 | −4.8/–14.7 |
울란차브 | 25.4/13.6 | −6.1/–18.5 |
내몽골 지역은 역사적으로 남쪽의 한족 농경 사회와 북쪽의 흉노, 선비, 거란, 여진, 몽골 등 유목 민족 세력이 교차하며 영향을 주고받은 곳이다. 특히 중서부의 하투 지역은 이러한 상호작용이 두드러졌다. 반면 동부 지역은 만주의 일부로 간주되며, 주로 퉁구스계 민족과 몽골계 부족 간의 역사가 중심을 이룬다.[10]
3. 역사
고대부터 다양한 유목 민족이 거주했으며, 전국 시대에는 조나라가, 진과 한 시대에는 중국 왕조가 이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려 시도했다. 이후 오호십육국 시대, 수, 당을 거치며 지배 세력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요나라, 금나라, 서하 등이 차례로 이 지역을 장악했으며, 13세기 칭기즈 칸이 몽골 제국을 세우면서 내몽골은 몽골 제국의 중요한 일부가 되었다. 원 시기에는 상도가 여름 수도로서 번영하기도 했다.
1368년 명나라가 건국되면서 원나라 세력은 몽골 고원으로 물러났고, 명은 현재 위치에 만리장성을 건설하여 방어선을 구축했다. 이 시기 몽골은 여러 부족으로 나뉘어 경쟁했으며, 16세기 알탄 칸이 내몽골을 통합하고 티베트 불교를 도입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했다. 17세기에는 만주족이 청을 세우고 몽골 부족들을 복속시켰다. 청은 몽골 지역을 내몽골과 외몽골 등으로 나누어 통치했으며, 몽골인들의 이동을 제한하는 정책을 폈다. 19세기 후반부터는 한족의 대규모 이주가 시작되었다.
1911년 신해혁명 이후 외몽골은 독립을 선포했으나 내몽골은 중화민국의 영토로 남게 되었다. 중화민국은 내몽골 지역을 여러 성으로 분할하여 통치했다. 1930년대 일본 제국의 침략으로 동부 지역은 만주국에, 중서부 지역 일부는 몽강연합자치정부(몽강국)라는 괴뢰 정부의 통치하에 놓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내몽골 지역에서는 독립 및 외몽골과의 통일 움직임이 있었으나 소련과 중국 공산당의 영향 아래 자치 노선으로 전환되었다. 1947년 중국 공산당의 지원을 받아 우란후를 중심으로 내몽골 자치구가 설립되었고, 이는 중화인민공화국 최초의 소수민족 자치구가 되었다.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내몽골 인민혁명당 숙청 사건 등으로 수많은 몽골인이 탄압받고 희생되는 비극을 겪었으며, 자치권이 크게 훼손되었다. 1979년 행정구역이 복원되었으나, 이후에도 한족 이주 증가와 환경 파괴, 몽골어 교육 축소 등 소수민족 문제로 인한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내몽골'이라는 명칭은 만주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청나라 시기 외몽골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일부에서는 이 명칭이 중화중심주의적 시각을 반영한다고 보아 '남몽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명칭은 아니다.[8]
3. 1. 선사 및 고대 시대
50만 년 전부터 20만 년 전 무렵의 원인 화석이 내몽골 지역에서 발견되었다.[94] 기원전 4700년부터 기원전 2900년경에는 홍산 문화가 연산산맥 북부에서 번성했다.[94] 또한, 판석묘 문화 유적이 몽골 북부, 중부, 동부, 내몽골, 중국 북서부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발견되는데, 일부 몽골 학자들은 이 문화를 원몽골인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9] 기원전 20세기경에는 오르도스 지역에 부족들이 정착하기 시작했으며,[94] 비교적 습윤하고 온난한 기후 덕분에 이 지역에서는 목축과 농경을 병행하는 생활 방식이 이루어졌다.[94]
주나라 시대 동안 내몽골 중서부(하투 지역 및 주변)에는 누번, 임호, 북적과 같은 유목 민족이 거주했고, 동부에는 동호가 살았다.[10] 춘추 전국 시대에는 조, 연과 북방의 흉노 사이에 항쟁이 벌어졌다.[94] 전국시대에 이르러 조나라의 조 무령왕(기원전 340-295)은 적극적인 팽창 정책을 추진하여, 현재 허베이성에 위치했던 북적의 중산국을 멸망시키고 임호와 누번을 물리쳤다. 이후 현재의 후허하오터 부근에 운중군, 안문군, 대군 3개의 군을 설치하고, 하투 지역을 가로지르는 장성을 축조했다.[10]
기원전 221년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한 후, 장군 몽염을 파견하여 흉노를 북쪽으로 몰아내고 기존의 조나라 장성을 포함하여 만리장성을 건설했다. 진나라는 이 지역에 구원군과 운중군 2개 군을 설치하고 3만 호의 백성을 이주시켜 지배력을 강화하려 했으나, 기원전 206년 진나라가 멸망하면서 이러한 노력은 중단되었다.[10]
전한 시대 한무제는 기원전 127년 장군 위청을 보내 흉노로부터 하투 지역을 되찾았다. 이후 흉노의 침입을 막기 위해 이 지역에 지속적으로 정착촌을 건설하고 삭방군과 오원군을 설치했다. 같은 시기 내몽골 동부 지역은 선비족이 지배하고 있었는데, 이들은 점차 흉노를 능가하는 세력으로 성장했다.[10]
후한 시대(25-220)에는 한나라에 항복한 흉노 일부가 하투 지역에 정착하여 한족 이주민들과 섞여 살기 시작했다.[10] 서진 시대에는 하투 지역 출신의 흉노 귀족 유연이 한조(후에 전조로 개칭)를 세우면서 북중국이 여러 민족의 정권으로 분열되는 오호십육국 시대가 시작되었다.[10]
수나라(581-618)와 당나라(618-907) 시대에 중국이 다시 통일되면서 하투 지역을 점령하고 한족을 정착시키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당나라가 쇠퇴하면서 다시 중단되었다. 이후 만주 남부와 내몽골 동부에서 일어난 거란이 요나라를 세워 내몽골 지역 대부분을 장악했다. 그 뒤를 이어 탕구트의 서하가 현재 내몽골 서부 지역을 차지하기도 했다. 요나라는 이후 여진족에게 멸망했는데, 여진족은 금나라 (1115년)를 세워 북중국과 만주 지역을 지배했다.
3. 2. 중세 시대
1206년 칭기즈 칸이 몽골 부족들을 통일하여 몽골 제국을 건국한 후, 내몽골 지역은 그의 동생 조치 카살의 영지가 되었고 이후 그의 자손들이 이 지역을 지배하였다.[96] 몽골 제국은 1227년에는 탕구트족이 세운 서하를, 1234년에는 여진족의 금을 정복하였다.
몽골 제국 계승 전쟁 시기에는 쿠빌라이의 근거지가 되었으며, 그가 1271년에 세운 원에서는 상도(현재의 돌론노르 부근)가 수도 대도(현재의 베이징)에 이은 여름 수도(上都|상도중국어, Xanadu|자나두영어)가 되었다. 당시 옹구트와 쿵기라트 부족이 현재의 내몽골 지역을 지배하였다.
1368년 한족이 세운 명에 의해 원나라가 몽골 고원으로 밀려나면서 북원 시대가 시작되었다. 명나라는 상도와 영창 등 내몽골 일부 지역을 점령하고 현재 위치에 만리장성을 재건했는데, 이는 대체로 현대 내몽골 자치구의 남쪽 경계와 일치한다. 명나라는 또한 이 지역에 몽골인으로 구성된 삼위(三衛)를 설치하였다.
원이 북쪽으로 물러난 후 몽골인들은 서부의 오이라트, 북부의 할하, 그리고 내몽골의 세력으로 나뉘어 서로 경쟁하였다. 1449년 토목의 변에서 오이라트의 지도자 에센 타이시가 명나라 황제를 사로잡은 이후, 몽골인들이 외몽골에서 내몽골 지역으로 남하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1635년까지 내몽골은 북원 시대 몽골의 정치적, 문화적 중심지가 되었다.[11]
16세기에는 알탄 칸이 내몽골을 재통일하였다.[96] 그는 서쪽의 오이라트, 북쪽의 우량카이, 남쪽의 명나라에 대한 군사 원정을 통해 현재 몽골 민족의 지리적 분포의 기초를 마련했다. 또한 티베트 불교를 도입하고 오랫동안 대립했던 명나라와 교역 관계를 수립하는 등 후대 몽골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97] 이 시기에는 몽골인들이 만리장성을 넘어 중국 내륙으로 진출하기도 했고, 반대로 중국인들이 만리장성 밖으로 피난 와 칸의 보호 아래 성곽 도시를 건설하고 농경과 교역에 종사하며 여러 민족이 함께 거주하는 현상이 나타났다.[98][96]
3. 3. 근세 시대
1368년 원나라가 한족의 명나라 건국으로 몽골 고원으로 물러난 후, 명나라는 현재의 위치에 만리장성을 건설했다. 이 만리장성은 대체로 내몽골의 남쪽 경계와 일치한다.
17세기 초, 만주 지역의 여진족을 통합한 누르하치는 후금을 건국하고 점차 세력을 확장했다.[12] 당시 내몽골 동부의 코르친족이나 남부 할하족 등 여러 몽골 부족들은 여진족과 때로는 동맹을 맺거나 혼인 관계를 형성하기도 하고, 때로는 서로 싸우기도 했다. 1634년, 징기스칸의 후손이자 차하르족의 지도자였던 리그덴 칸이 청나라에 저항하다 천연두로 사망하자, 그의 아들 에제이 칸은 1635년 부족을 이끌고 만주족에게 항복했다. 이로써 만주족은 내몽골 지역에 대한 광범위한 지배권을 확보하게 되었다. 이후 만주족은 1644년 명나라를 정복하고 청나라를 세웠다.
청나라(1644년 ~ 1912년)는 광대한 몽골 고원을 여러 지역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방식으로 통치했다.
구분 | 설명 | 포함 지역 (현대 기준 일부 포함) |
---|---|---|
외몽골 | 고비 사막 북쪽의 할하족 4개 아이막(aimag), 타누 우량하이(현 러시아 투바 공화국), 호브드 지역 등을 포함. 울리야스타이 장군이 감독. | 현대 몽골, 러시아 투바 공화국, 바얀올기 아이막 일부 |
내몽골 | 6개 연합(추울한, chuulghan): 지림, 주우다, 조스투, 실링골, 울란차브, 예케주. | 현대 내몽골 자치구 대부분, 랴오닝성 및 지린성 일부 |
타옥시 몽골 | 알산 오엘뤼드(Öölüd) 기, 에진 토르구트(Torghuud) 기. 외몽골 아이막이나 내몽골 추울한에 속하지 않음. | 현대 알샤 맹(내몽골 서쪽 끝) |
차하르 기 | 장가구(Zhangjiakou) 군사 사령관이 통제. | 현대 울란차브 및 바얀누르 남부, 허베이성 장가구 주변 |
귀화 투메드 기 | 수이위안(Suiyuan)(현 후허하오터) 군사 사령관이 통제. | 현대 후허하오터시 주변 |
후룬부이르 지역 | 헤이룽장성 장군(만주 3대 장군 중 하나) 관할. | 현대 내몽골 북동부 |
청 황실은 내몽골 귀족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광범위한 혼인 관계를 맺었다. 항복한 에제이 칸에게는 親王|친왕중국어 칭호가 주어졌다. 그러나 에제이 칸이 1661년 사망하고 동생 아부나이가 뒤를 이은 후, 아부나이가 청나라 통치에 불만을 드러내자 1669년 선양에 가택 연금되었다. 강희제는 아부나이의 아들 보르니에게 칭호를 물려주었으나, 아부나이는 1675년 삼번의 난이 일어나자 동생 루부숭과 함께 3,000명의 차하르 몽골인들을 이끌고 반란을 일으켰다. 청나라는 두 달 만에 반란을 진압하고 1675년 4월 20일 전투에서 아부나이와 그의 추종자들을 모두 처형했다. 차하르 몽골 왕족 남성들은 청나라 공주 소생이라도 모두 처형되었고, 왕족 여성들은 노예로 팔렸다. 이후 차하르 몽골 지역은 다른 내몽골 연합과 달리 청나라 황제의 직접적인 통치를 받게 되었다.
청나라는 몽골인들이 자신들의 연합(맹)이나 기의 경계를 벗어나 여행하는 것을 엄격히 금지했다. 다른 몽골 기는 물론, 한족이 거주하는 중국 본토(내지)로의 이동도 금지되었으며, 이를 어길 시 엄한 처벌을 받았다. 이는 몽골인들을 분열시켜 통치하려는 청나라의 정책적 의도 때문이었다.[14] 종교적 순례 목적으로 경계를 넘어야 할 경우에도 여권을 발급받아 허가를 받아야 했다.[15]
청나라는 공식적으로는 만주와 몽골 땅에 한족의 정착을 금지했지만, 18세기 들어 기근, 홍수, 가뭄 등으로 고통받던 중국 북부의 한족 난민들을 만주와 내몽골에 정착시키는 것을 허용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1780년대에는 이미 만주에서 5000km2, 내몽골에서 수백 km2의 땅이 한족 농민들에 의해 경작되고 있었다.[13] 18세기 동안 점점 더 많은 한족 정착민들이 불법적으로 내몽골 초원으로 이주했으며, 1791년에는 전고르로스 기의 자삭(부족장)이 이미 정착한 한족 농민들의 지위를 합법화해달라고 청 정부에 청원할 정도였다.[16]
19세기에 이르러 만주족의 중국화가 진행되고 러시아의 남하 위협이 커지자, 청 정부는 정책을 바꾸어 한족 농민들이 몽골과 만주 지역으로 이주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 건설된 철도는 한족의 이주를 더욱 용이하게 만들었다. 토지는 몽골 왕자들이 팔거나 한족 농민에게 임대하는 방식으로 넘어갔고, 때로는 유목민들의 땅을 빼앗아 한족 농민에게 주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몽골 추종자"라 불리던 한족 집단이 내몽골로 이주하여 몽골 귀족이나 일반 몽골인을 위해 일하고 몽골 여성과 결혼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들의 후손은 계속해서 몽골 여성과 결혼하며 몽골인으로 동화되었고, 민족 정체성도 몽골인으로 바꾸었다. 리수신(Li Shouxin)의 조상이 이러한 사례에 해당한다. 이들은 "진정한 몽골인"(真蒙古중국어)과는 구별되었다.[17][18][19]
3. 4. 현대

1911년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붕괴하고 중화민국이 수립되자, 외몽골의 할하 지역 제브츠운담바 후투크투는 보그드 칸으로 추대되어 독립을 선포했다. 내몽골의 거의 모든 부족(기)들도 보그드 칸을 몽골 전체의 지도자로 인정하며 외몽골과의 통합을 원했지만, 지역 내부의 이해관계 충돌과 청나라 복원을 원하는 일부 왕족들의 반대로 완전한 통일은 이루지 못했다.[20] 새로 수립된 중화민국은 한족, 만주족, 몽골족, 티베트인, 위구르족의 다섯 민족 공화를 표방하며[21] 내몽골 지역의 독립 움직임을 무력으로 진압했다.[22][23] 1913년 몽골군이 내몽골 해방 전쟁을 시작해 중화민국군을 몰아내기도 했으나, 러시아 제국의 개입으로 실패했다. 결국 1915년 캬프타 조약을 통해 외몽골은 광범위한 자치를 인정받았으나, 내몽골은 중화민국의 영토로 남게 되었다.
중화민국 정부는 내몽골 지역을 여러 성으로 분할하여 통치했다.
성 이름 | 포함 지역 |
---|---|
러허 성 | 주우다(昭烏達) 연합, 조스투(卓索圖) 연합, 허베이성 북부의 청더 지역 |
차하얼 성 | 쉬링골(錫林郭勒) 연합, 옛 팔기(八旗) 영토 대부분 |
쑤이위안 성 | 울란차브(烏蘭察布) 연합, 예케주(伊克昭) 연합, 허타오(河套) 지역(옛 귀화 투메드(歸化土默特) 영토) |
후룬부이르 | 만주 지역의 헤이룽장 성에 속함 |
지림(哲里木) 연합 | 대부분 만주 남부의 랴오닝 성(옛 봉천성)에 속함 |
타오시(套西) 몽골 | 알샤(阿拉善) 연합, 에진(額濟納) 연합. 처음에는 간쑤 성에 편입되었다가, 이후 분리된 닝샤 성의 일부가 됨 |
1931년 만주사변 이후 일본 제국은 괴뢰 국가인 만주국을 세워 내몽골 동부(후룬부이르, 지림 연합)를 편입했고, 1933년에는 러허 성까지 합병했다.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몽골 왕족 데므치그돈로브(德穆楚克棟魯普, 덕왕)는 일본의 지원을 받아 1937년 12월 8일, 만주국에 편입되지 않은 쑤이위안 성과 차하얼 성 지역에 몽강연합자치정부(몽강국) 수립을 선포했다. 수도는 장베이(현 허베이 성)에 두었으며, 서쪽으로는 후허하오터까지 영향력을 확장하려 했다. 이들 만주국과 몽강국은 사실상 일본의 괴뢰 정부였으며, 특히 몽강국 인구의 90% 이상은 한족이었다. 한편, 중국국민당은 일본에 맞서기 위해 우란후를 포함한 몽골인들로 구성된 게릴라 부대를 조직하기도 했다.[24][25][26]
1945년 8월, 소련의 만주 전략공세작전으로 일본이 패망하고 만주국과 몽강국은 붕괴되었다. 소련군과 몽골 인민 공화국 군대가 내몽골에 진주하자[99], 일부 몽골 지도자들은 내몽골 인민 공화국을 잠시 수립(1945년 9월 9일 ~ 11월 6일)하고 외몽골과의 통일을 추진했다. 그러나 중소 우호 동맹 조약 체결 과정에서 소련과 외몽골은 중화민국의 외몽골 독립 승인을 얻는 대가로 내외몽골 통일 요구를 철회했다. 독립과 통일이 좌절된 내몽골의 공산주의 세력은 중국 공산당의 지원을 받아 자치 노선으로 방향을 전환했고, 1947년 우란후를 중심으로 후룬부이르 지역에 내몽골 자치구를 설립했다.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자치구의 범위는 점차 확대되어 현재와 같은 길쭉한 모양을 갖추게 되었다.
1966년 시작된 문화대혁명 시기, 자치구 주석 우란후가 실각하고 내몽골 인민혁명당 숙청 사건 등이 발생하며 몽골인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이 자행되었다.[27] '민족 분열주의', '일본 부역' 등의 혐의로 당시 몽골인 인구 약 150만 명 중 34만 6천 명이 체포되고 최소 2만 7천 9백 명이 살해당했으며, 12만 명 이상이 고문 후유증으로 장애를 얻었다.[101][102][28] 특히 잔혹한 고문과 학살이 자행되었다는 증언이 있으며[103][104], 이는 소수민족에 대한 극심한 탄압 사례로 지적된다. 1969년에는 자치구의 행정 구역이 주변 성들에 분할 편입되었다가 1979년에 다시 복원되었다. 문화대혁명 이후 희생자들의 명예는 후야오방 주도로 일부 회복되었으나[101][102], 가해자 처벌 미비 등에 대한 몽골인들의 항의는 탄압받았다.[104]
문화대혁명 이후 우란후는 복권되어 중화인민공화국 부주석까지 올랐고, 그의 가문은 내몽골 자치구에서 강력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105] 개혁개방 이후 내몽골은 풍부한 석탄과 희토류 등 광물 자원 개발[29]에 힘입어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급격한 개발은 심각한 환경 오염과 초원 파괴를 낳았으며[30], 대규모 한족 이주와 도시화 과정에서 발생한 부패, 부의 불균형 심화는 민족 간의 갈등을 증폭시켰다.[31][32] 고향에서 소외감을 느끼는 몽골인들의 불만은 2011년과 2013년 대규모 시위로 표출되기도 했다.[33][34]
2020년 8월, 중국 중앙 정부가 학교에서 몽골어 교육을 축소하고 중국어 교육을 강화하는 정책을 발표하자, 이에 반대하는 대규모 항의 시위가 발생하여 국제적인 관심을 끌었다.[35][36][37] 이는 중국 정부의 소수민족 동화 정책에 대한 몽골인들의 깊은 우려를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4. 정치
1911년 외몽골 지역에서 젭춘담바 후툭투가 몽골의 보그드 칸으로 선포되면서 청나라로부터 독립을 이루었다. 내몽골의 거의 모든 부족(기, 旗)은 보그드 칸을 몽골 전체의 통치자로 인정했지만, 지역 내부의 분쟁으로 완전한 통일에는 이르지 못했다. 일부 내몽골의 왕족들은 보그드 칸의 신정 통치가 몽골의 근대화에 방해가 된다고 보았으며, 청나라의 부흥을 바라기도 했다.[20] 결국 새로 수립된 중화민국은 한족, 만주족, 몽골족, 티베트인, 위구르족을 아우르는 '오족공화(五族共和)'를 내세우며[21] 내몽골 지역의 독립 움직임을 진압했다.[22][23]
중화민국은 내몽골 지역을 여러 성으로 나누어 통치했다.
성 이름 | 포함 지역 |
---|---|
러허 성 (열하성) | 주우다(조오드) 연합, 조스투 연합, 현재 허베이성 북부의 청더 지역 |
차하얼 성 (찰합이성) | 쉬링골(실린골) 연합, 옛 팔기(八旗) 영토 대부분 |
쑤이위안 성 (수원성) | 울란차브(오란찰포) 연합, 예케주(이흐자오) 연합, 허타오 지역(옛 귀화 투메드 영토) |
헤이룽장 성 (흑룡강성) | 후룬부이르(후룬베이얼) 지역 |
랴오닝 성 (요녕성, 당시 봉천성) | 지림(저림) 연합 대부분 |
간쑤 성 (감숙성) -> 닝샤 성 (영하성) | 타오시 몽골 (알산 연합, 에진 연합) |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내몽골은 일본의 침략과 여러 저항 운동으로 복잡한 역사를 겪었다. 1931년 일본은 만주를 점령하고 괴뢰 국가인 만주국을 세웠으며, 이 과정에서 후룬부이르와 지림 연합 등 만주 성의 일부였던 몽골 지역도 일본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1933년에는 러허 성마저 만주국에 편입되어 주우다와 조스투 연합도 일본의 영향력 아래 놓였다. 이 지역들은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만주국의 일부로 남았다.
1937년 일본이 중국 본토를 침략하자, 몽골 왕자 데무추둥루브(덕왕)는 12월 8일 쑤이위안 성과 차하얼 성 지역의 독립을 선포하고 일본 및 만주국과 협력하여 몽강연합자치정부를 세웠다. 수도는 장베이(현재 허베이성)에 두었으며, 일본의 괴뢰 정부는 서쪽으로 후허하오터 지역까지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 그러나 일본의 서진은 후이족 무슬림 장군 마홍빈이 이끄는 군대에 의해 수이위안 서부 전투와 우위안 전투에서 저지되었다.
한편, 국민당은 일본군에 맞서기 위해 몽골인들로 구성된 게릴라 부대를 조직했다. 이 부대는 에진과 알샤 지역에 설치된 국민당 위원회를 통해 창설되었으며,[24][25] 데무추둥루브의 친일 몽골 세력을 공격하기도 했다. 국민당은 내몽골에서 약 1,700명의 몽골인 전투원을 모집하여 투메드 기, 울란차브 연합, 오르도스 예케주 연합 등지에 전쟁 지역을 설정했다.[24][26] 몽골인 우란후 역시 이 시기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인 1945년 9월 9일, 내몽골 인민공화국이 잠시 수립되었으나 같은 해 11월 6일 해체되었다. 일본 통치 기간 동안 코민테른(제3공산인터내셔널)의 영향을 받은 공산주의 운동이 내몽골에서 세력을 키웠다. 이들은 전쟁이 끝난 후 봉건주의 타파를 내세우며 데무추둥루브 등 칭기즈 칸 후손 왕족들의 독립 시도에 반대했다. 중국 공산당은 소련의 지원을 받아 만주와 내몽골의 공산주의 세력을 통합하고, 1947년 내몽골 자치구를 설립했다. 초기 자치구는 후룬베이얼 지역만 포함했으나, 이후 10년간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 본토를 장악하면서 점차 확장되었다. 결국 과거 내몽골의 6개 연합 중 5개(랴오닝성에 속한 요서 연합 제외), 차하르 지역 북부, 허타오 지역, 알라산과 에진 기 등을 포함하여 현재와 같이 동서로 길쭉한 모양의 자치구가 형성되었다. 이 시기 내몽골의 최고 지도자는 지역 공산당 서기 겸 정부 주석을 맡았던 우란후였다.
문화 대혁명(1966-1976) 기간 동안 우란후를 비롯한 자치구 지도부가 숙청되었고, 몽골족 주민들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이 자행되었다.[27] 당시 내몽골 인구의 약 10%에 불과했던 몽골인이 전체 희생자의 75%를 차지할 정도로 피해가 극심했다.[28] 1969년에는 내몽골 자치구의 영역이 크게 축소되어 주변 성으로 분할되었다. 후룬베이얼은 헤이룽장성과 지린성으로, 지림은 지린성으로, 주우다는 랴오닝성으로, 그리고 알라산과 에진 지역은 간쑤성과 닝샤 후이족 자치구로 편입되었다. 이러한 행정 구역 변경은 1979년에 다시 원래대로 복원되었다.
2000년대 들어 내몽골은 석탄(특히 동승 탄전)과 희토류 등 풍부한 광물 자원 개발에 힘입어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29] GDP 성장률이 연평균 10%를 넘어서 15%에 달하기도 했으며, 북쪽 몽골과의 경제 교류 확대도 성장에 기여했다. 그러나 이러한 개발은 심각한 환경 오염과 초원 파괴를 동반했다.[30] 또한, 다른 지역 한족의 이주를 장려하고 유목민과 농민의 도시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오르도스시와 같은 지역에서 막대한 공공 지출과 부패, 낭비 문제가 발생했다.[31][32] 극심한 부의 불균형과 개발 과정에서의 소외감은 민족 간의 갈등을 심화시켰고, 많은 몽골인들은 자신들의 고향에서 소외되고 있다고 느끼며 2011년과 2013년에 대규모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33][34]
2020년 8월에는 중국 중앙 정부가 학교에서 몽골어 교육을 축소하고 중국 표준어(만다린어) 교육을 강화하려는 정책을 발표하자, 이에 반대하는 몽골족 사회의 광범위한 시위가 발생했다.[35][36][37]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112조부터 제122조까지에 따라 내몽골 자치구는 정치 및 경제 분야에서 제한적인 자치권을 가진다. 국가의 큰 틀 안에서 지역 경제 정책을 시행하는 데 있어 일반 성(省)보다 더 많은 재량권을 갖는다고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중국공산당 자치구 위원회 서기가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며, 자치구 주석(법적으로 소수민족, 통상 몽골족)은 당 서기의 지휘를 받는다. 당 서기는 부패 방지를 명목으로 일반적으로 중국 다른 지역 출신의 한족이 임명된다. 2023년 5월 기준 당 서기는 손소청이다. 내몽골 자치구 정부와 그 산하 기관의 구조는 중국의 다른 성 정부와 거의 동일하다. 경제 정책 면에서는 중국 전체의 연방제적 경향 강화에 따라 내몽골 자치구가 독자적인 경제 계획을 추진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자치구 주석직은 전통적으로 동부의 코르친 몽골인 출신과 서부의 투메드 몽골인 출신이 번갈아 맡는 관례가 있었다. 문화 대혁명 이후 이 관례는 깨지지 않고 이어져 왔다. 특히 우란후 가문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내몽골 정치에 지속적인 영향력을 행사해 왔으며, 그의 아들 부허와 손녀 부샤올린이 모두 자치구 주석을 역임했다.
5. 행정 구역
내몽골 자치구는 12개의 지급 행정구역으로 나뉜다. 이 중 9개는 지급시이고 3개는 맹(盟)이다.
역사적으로 내몽골 자치구의 지급 행정구역은 대부분 청나라 시대의 구분을 따른 '맹'으로 불렸으며, 현급 행정구역은 '기'(旗)로 불렸다. 1990년대 이후 많은 맹이 지급시로 전환되었으나, 기는 여전히 현급 행정구역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행정 구역 개편 과정에서 맹의 중심 도시는 행정적으로 구(区)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았다(예: 하이라얼 구, 지닝 구, 둥성 구). 일부 새로 설립된 지급시는 맹의 원래 이름을 유지하기도 했고(예: 후룬베이얼, 바옌나오얼, 울란차브), 일부는 중심 도시의 중국어 이름을 채택했으며(츠펑, 퉁랴오), 예커주 맹은 어얼둬쓰로 이름을 변경했다. 현재 아라산맹, 싱안맹, 시린궈러맹은 맹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12개의 지급 행정구역은 다시 103개의 현급 행정구역으로 나뉜다. 2020년 기준 현급 행정구역 구성은 다음과 같다.[44]
이 현급 행정구역들은 다시 1,425개의 향진급 행정구역으로 세분된다 (2017년 기준): 532개 진, 407개 향, 277개 소목, 18개 민족향, 1개 민족소목, 190개 가도.[45]
내몽골 자치구의 행정 구역 (2020년 기준) | ||||||||
---|---|---|---|---|---|---|---|---|
행정구역 코드[41] | 행정구역 명칭 | 면적 (km2)[42] | 인구 (2020년)[43] | 행정 중심지 | 하급 행정구역 수[44] | |||
시할구 | 현 / 기 | 자치기 | 현급시 | |||||
150000 | 내몽골 자치구 | 1183000km2 | 24,049,155 | 후허하오터시 | 23 | 66 | 3 | 11 |
150100 | 후허하오터시 | 17186.1km2 | 3,446,100 | 신청 구 | 4 | 5 | ||
150200 | 바오터우시 | 27768km2 | 2,709,378 | 쿤두룬 구 | 6 | 3 | ||
150300 | 우하이시 | 1754km2 | 556,621 | 하이보완 구 | 3 | |||
150400 | 츠펑시 | 90021km2 | 4,035,967 | 훙산 구 | 3 | 9 | ||
150500 | 퉁랴오시 | 59535km2 | 2,873,168 | 커얼친 구 | 1 | 6 | 1 | |
150600 | 어얼둬쓰시 | 86881.61km2 | 2,153,638 | 캉바스 구 | 2 | 7 | ||
150700 | 후룬베이얼시 | 254003.79km2 | 2,242,875 | 하이라얼 구 | 2 | 4 | 3 | 5 |
150800 | 바옌나오얼시 | 65755.47km2 | 1,538,715 | 린허 구 | 1 | 6 | ||
150900 | 우란차부시 | 54447.72km2 | 1,706,328 | 지닝 구 | 1 | 9 | 1 | |
152200 | 싱안맹 | 59806km2 | 1,416,929 | 우란하오터 시 | 4 | 2 | ||
152500 | 시린궈러맹 | 202580km2 | 1,107,075 | 시린하오터 시 | 10 | 2 | ||
152900 | 아라산맹 | 267574km2 | 262,361 | 아라산 좌기 | 3 |
행정 구역 명칭 (몽골어, 중국어 및 로마자 표기) | ||||
---|---|---|---|---|
한국어 명칭 | 몽골 문자 표기 | 몽골어 로마자 표기 | 중국어 한자 표기 | 병음 |
내몽골 자치구 | ᠦᠪᠦᠷ ᠮᠣᠩᠭᠤᠯ ᠤᠨ ᠥᠪᠡᠷᠲᠡᠭᠡᠨ ᠵᠠᠰᠠᠬᠤ ᠣᠷᠤᠨ|외뵈르 몽골린 외베르테겐 자사쿠 오론mon | Öbür mongγol-un öbertegen zasaqu orun | 内蒙古自治区 | Nèi Měnggǔ Zìzhìqū |
후허하오터 시 | ᠬᠥᠬᠡᠬᠣᠲᠠ|쾨케코타mon | Kökeqota | 呼和浩特市 | Hūhéhàotè Shì |
바오터우 시 | ᠪᠤᠭᠤᠲᠤ ᠬᠣᠲᠠ|부구투 코타mon | Buɣutu qota | 包头市 | Bāotóu Shì |
우하이 시 | ᠦᠬᠠᠢ ᠬᠣᠲᠠ|위카이 코타mon | Üqai qota | 乌海市 | Wūhǎi Shì |
츠펑 시 | ᠤᠯᠠᠭᠠᠨᠬᠠᠳᠠ ᠬᠣᠲᠠ|울라간카다 코타mon | Ulaɣanqada qota | 赤峰市 | Chìfēng Shì |
퉁랴오 시 | ᠲᠥᠩᠯᠢᠶᠠᠣ ᠬᠣᠲᠠ|튕글리야오 코타mon | Tüŋliyou qota | 通辽市 | Tōngliáo Shì |
오르도스 시 | ᠣᠷᠳᠤᠰ ᠬᠣᠲᠠ|오르도스 코타mon | Ordos qota | 鄂尔多斯市 | È'ěrduōsī Shì |
후룬베이얼 시 | ᠬᠥᠯᠦᠨᠪᠤᠶᠢᠷ ᠬᠣᠲᠠ|쾰뢴부이르 코타mon | Kölön-buyir qota | 呼伦贝尔市 | Hūlúnbèi'ěr Shì |
바옌나오얼 시 | ᠪᠠᠶ᠋ᠠᠨᠨᠠᠭᠤᠷ ᠬᠣᠲᠠ|바얀나구르 코타mon | Bayannaɣur qota | 巴彦淖尔市 | Bāyànnào'ěr Shì |
울란차브 시 | ᠤᠯᠠᠭᠠᠨᠴᠠᠪ ᠬᠣᠲᠠ|울라간차브 코타mon | Ulaɣančab qota | 乌兰察布市 | Wūlánchábù Shì |
싱안 맹 | ᠬᠢᠩᠭ᠋ᠠᠨ ᠠᠶᠢᠮᠠᠭ|칭간 아이막mon | Qiŋɣan ayimaɣ | 兴安盟 | Xīng'ān Méng |
쉬린궈러 맹 | ᠰᠢᠯᠢ ᠶᠢᠨ ᠭᠣᠤᠯ ᠠᠶᠢᠮᠠᠭ|실리인 골 아이막mon | Sili-yin ɣool ayimaɣ | 锡林郭勒盟 | Xīlínguōlè Méng |
알라선 맹 | ᠠᠯᠠᠱᠠᠨ ᠠᠶᠢᠮᠠᠭ|알라샤 아이막mon | Alaša ayimaɣ | 阿拉善盟 | Ālāshàn Méng |
6. 경제
밀과 같은 작물의 경작은 주로 강 계곡을 따라 이루어진다. 건조한 목초지에서는 염소, 양 등을 전통적인 방식으로 사육한다. 다싱안링산맥 동부에서는 임업과 수렵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에벤키족 자치기의 에벤키족은 순록을 사육한다. 최근에는 우하이 지역을 중심으로 포도 재배와 포도주 양조가 새로운 경제 활동으로 부상하고 있다. 또한, 내몽골은 메밀의 주요 생산지이며, 일본에서 수입하는 메밀의 상당량이 이곳에서 생산된다.
내몽골은 석탄, 천연가스, 석유, 캐시미어, 희토류 등 천연자원이 풍부하다. 특히 희토류 매장량은 중국 내 1위이며, 바오터우의 바얀 광구(巴彦矿区)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희토류 광상이 있다.[54] 이 외에도 나이오븀, 지르코늄, 베릴륨 매장량 역시 중국 내 다른 성과 비교했을 때 가장 많다. 내몽골은 중국 북부의 중요한 석탄 생산 기지로서, 2010년까지 연간 생산량을 5억 톤으로 늘릴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 그러나 과거에는 풍부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활용하지 못해 경제 발전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주요 산업으로는 석탄, 발전소 운영, 임업 관련 산업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현재 내몽골 자치구는 에너지, 화학, 야금, 장비 제조, 농축산물 가공, 첨단 산업의 여섯 가지 경쟁력 있는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ERDOS, Yili, Mengniu 등이 있다. 군수 산업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데, 바오터우에 위치한 구 제617공장(현 내몽골 제1기계집단)은 59식 전차부터 99식 전차까지 중국의 주력 전차를 생산해 온 유일한 공장이다. 다만, 먼지가 많은 지역 특성상 엔진 등 일부 부품은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다. 또한, 바람이 강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풍력 발전 설비 용량이 중국에서 가장 크며, 그 규모는 싼샤댐을 능가하는 수준이다.[111][112]
2000년대 들어 내몽골은 중국 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다.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연평균 20% 이상 성장했으며, 2008년에는 17.2%, 2009년에는 17% 증가했다. 2008년 명목 GDP는 7762억위안 (1136억달러)였으며, 1인당 GDP는 32,214위안(4717USD)에 달했다. 같은 해 산업 구조는 1차 산업 907억 위안, 2차 산업 4,271억 위안, 3차 산업 2,584억 위안으로 구성되었다. 도시 주민의 1인당 가처분 소득은 14,431위안(16.6% 증가), 농촌 주민의 1인당 가처분 소득은 4,656위안(17.8% 증가)을 기록했다. 이러한 급속한 경제 성장은 중국의 다른 도시들처럼 상업 시설과 아파트 건설 붐을 동반했다. 특히 오르도스시는 한때 마카오, 홍콩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중국 본토에서 1인당 지역내총생산(GDP)이 가장 높은 도시였으나[109], 부동산 거품 경제 붕괴로 인해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5년 내몽골 자치구의 1인당 GDP는 상하이, 베이징, 톈진에 이어 전국 4위를 차지하는 등[110], 독립 국가인 몽골보다 경제적으로 더 발전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경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여러 경제 개발구 및 특구가 운영되고 있다.
- 바오터우 국가 희토류 첨단산업개발구[54]
- 얼룬허터 국경 경제협력구
- 후허하오터 수출가공구: 2002년 6월 21일 국무원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후허하오터 서쪽에 위치한다. 계획 면적은 2.2km2이다. 전자 조립 및 제조, 통신 장비, 의류 및 섬유 생산, 무역 및 유통, 생명공학/제약, 식품/음료 가공, 기기 및 산업 장비 생산, 의료 장비 및 용품, 선적/창고/물류, 중공업 등의 산업이 장려된다.[55]
- 후허하오터 경제기술개발구
- 만저우리 국경 경제협력구
자치구 최서부에는 중국의 미사일 및 우주 개발의 핵심 기지인 주취안 위성 발사 센터가 있으며, 스저왕치는 우주선의 귀환 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7. 주민
한족이 내몽골 자치구 주민의 대다수인 약 79%를 차지한다. 황하 유역의 허타오 지역은 역사적으로 남쪽의 농경 민족과 북쪽의 유목 민족이 번갈아 거주하던 곳이었으나, 18세기 초 청나라의 정책적 장려로 한족 농민의 이주가 시작되어 20세기까지 이어졌다.[63] 한족은 주로 허타오 지역과 내몽골 중부 및 동부의 인구 밀집 지역에 거주한다.
몽골족은 2020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약 17.7%를 차지하는 두 번째로 큰 민족이다.[64] 중국 정부는 부랴트족, 오이라트족 등 다양한 몽골계 언어를 사용하는 여러 집단을 공식적으로 몽골족으로 분류한다. 전통적으로 유목 생활을 하던 많은 몽골족은 마오쩌둥 시대에 목축 경제가 집단화되면서 정착 생활을 하게 되었고, 일부는 도시로 이주하여 노동자가 되기도 했다. 하지만 일부 몽골족은 여전히 전통적인 유목 생활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몽골족 인구의 70% 이상은 자치구 전체 면적의 18% 미만인 동부 지역(흥안맹, 퉁랴오시, 치펑시)에 집중되어 거주한다.
그 외 소수 민족으로는 만주족, 후이족, 다우르족, 에벤키족, 오로치족, 조선족, 러시아인 등이 거주하고 있다.
2020년 내몽골 자치구의 민족 구성[64] | ||
---|---|---|
민족 | 인구 | 비율(%) |
한족 | 18,935,537 | 78.74% |
몽골족 | 4,247,815 | 17.66% |
만주족 | 469,734 | 1.95% |
후이족 | 214,918 | 0.89% |
다우르족 | 73,523 | 0.31% |
에벤키족 | 27,958 | 0.12% |
조선족 | 18,216 | 0.08% |
러시아인 | 4,633 | 0.02% |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한족의 대규모 이주가 진행되면서 몽골족의 인구 비율은 크게 감소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농업 중심의 개발과 무분별한 자원 채취는 초원의 사막화를 가속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103][94] 특히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내몽골 인민혁명당 숙청 사건 등으로 많은 몽골족이 탄압받고 희생되었으며, 이는 민족 간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27][28][101][102] 2020년에는 중국 정부의 몽골어 교육 축소 정책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발생하기도 했다.[35][36][37]
몽골족과 비몽골족 간의 결혼은 흔하며, 특히 도시 지역에서는 민족 간 결혼에 대한 문화적 거부감이 적은 편이다. 1980년대 옛 지렘 맹(현 퉁랴오시 일부)에서는 몽골족 배우자가 있는 부부의 약 40%가 몽골족-한족 부부였다는 보고도 있다.[65] 그러나 최근 농촌 출신 몽골 여성과 한족 남성 간의 결혼이 증가하는 경향도 나타나는데, 이는 중국 전체의 성비 불균형 문제와 관련하여 농촌 몽골 남성들이 결혼 시장에서 어려움을 겪는 현상과 연관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66]
종교적으로는 티베트 불교(라마교) 신자가 많다.
연도 | 총인구 | 한족 | 비율(%) | 몽골족 | 비율(%) | 만주족 | 비율(%) |
---|---|---|---|---|---|---|---|
1953 | 6,100,104 | 5,119,928 | 83.9% | 888,235 | 14.6% | 18,354 | 0.3% |
1964 | 12,348,638 | 10,743,456 | 87.0% | 1,384,535 | 11.2% | 50,960 | 0.4% |
1982 | 19,274,281 | 16,277,616 | 84.4% | 2,489,378 | 12.9% | 237,149 | 1.2% |
1990 | 21,456,500 | 17,290,000 | 80.6% | 3,379,700 | 15.8% | ||
2000 | 23,323,347 | 18,465,586 | 79.2% | 3,995,349 | 17.1% | 499,911 | 2.1% |
2010 | 24,706,321 | 19,650,687 | 79.5% | 4,226,093 | 17.1% | 452,765 | 1.83% |
2020 | 24,049,155 | 18,935,537 | 78.7% | 4,247,815 | 17.7% |
기 명칭 | 몽골족 인구 | 비율 (%) | 기준 연도 |
---|---|---|---|
허르친 우익전기, 흥안맹 | 221,258 | 86.6% | 2020[72] |
신바르가 우기, 후룬베이얼시 | 28,369 | 82.2% | 2009 |
허르친 좌익후기, 퉁랴오시 | 284,000 | 75% | - |
신바르가 좌기, 후룬베이얼시 | 31,531 | 74.9% | 2009 |
허르친 좌익중기, 퉁랴오시 | 395,000 | 73.5% | - |
둥우짐친 기, 시린골 맹 | 43,394 | 72.5% | 2009 |
시우짐친 기, 시린골 맹 | 57,000 | 65% | - |
소니드 좌기, 시린골 맹 | 20,987 | 62.6% | 2006 |
샹황 기, 시린골 맹 | 19,000 | 62% | - |
후레 기, 퉁랴오시 | 93,000 | 56% | - |
자루드 기, 퉁랴오시 | 144,000 | 48% | - |
커얼친 우익전기, 흥안맹 | 162,000 | 45% | - |
천바얼후 기, 후룬베이얼시 | 25,903 | 43.6% | 2006 |
자리이드 기, 흥안맹 | 158,000 | 39% | - |
아루커얼친 기, 치펑시 | 108,000 | 36.6% | 2002 |
''주: 위 표의 인구 수에는 해당 지역에 주둔하는 중국인민해방군 현역 군인은 포함되지 않는다.''
8. 언어
중국어와 몽골어가 공용어이다.[113] 몽골어 표기에는 전통적인 몽골 문자를 사용하며, 몽골에서 사용되는 키릴 문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몽골의 표준 몽골어는 할하 방언을 기반으로 하는 반면, 내몽골 자치구의 표준 몽골어는 차하르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83] 중국 내 몽골어 표준 발음은 내몽골 중부 정람기의 차하르 방언에 기초하며, 문법은 모든 남부 몽골어 방언을 포괄한다.[83]
1980년대 이후 내몽골의 약 410만 몽골족 사이에서 몽골어 사용이 급격히 감소했다.[73] 중국 전체 몽골족(2005년 추산 580만 명) 중 약 절반만이 몽골어를 구사하는 것으로 추정되나[74], 정확한 통계는 부족하다. 내몽골에서 몽골어 사용은 역사적으로 부침을 거듭했다. 청나라 말기에 쇠퇴했다가 1947년부터 1965년까지 부흥기를 맞았고, 문화대혁명 시기(1966년~1976년)에 다시 쇠퇴했으며, 1977년부터 1992년까지 잠시 부흥했다가 1995년부터 2012년까지 세 번째 쇠퇴기를 겪었다.[75] 일부 도시 지역과 교육 분야에서 몽골어 사용이 줄었음에도, 도시화된 몽골족의 민족 정체성은 도시 내 민족 공동체의 존재 덕분에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있다.[76][77][78] 투메드족처럼 몽골어 구사 능력을 상실했더라도 여전히 자신을 몽골족으로 인식하고 등록하는 경우도 있으며[74][79], 몽골족과 한족의 혼혈 자녀 역시 몽골족으로 등록되는 경우가 많다.[80]
법률에 따라 모든 도로 표지판, 상업 시설, 정부 문서는 몽골어와 중국어 이중 언어로 표기해야 한다.[113] 내몽골 위성 TV에는 몽골어 채널 3개가 있으며, 대중교통 안내 방송도 이중 언어로 제공된다. 그러나 일부 표기는 단순히 한자를 몽골 문자로 직역한 수준에 머무른다는 지적도 있다.[113]
내몽골의 몽골인들은 차하르어, 실린골어, 바린어, 코르친어, 카르친어 등 다양한 몽골어 방언을 사용한다.[81] 학자에 따라서는 오르도스어, 캄니간어, 바르구 부랴트어, 알라샤어(논란의 여지가 있는 오이라트어 방언) 등을 중앙 몽골어군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독립적인 언어로 보기도 한다.[82] 후룬베이얼 지역에서는 다구르어나 퉁구스어파의 에벤키어, 오로첸어 등 다른 계통의 언어도 사용된다.[84]
내몽골의 한족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중국어 방언을 사용한다. 동부 지역 사람들은 만다린의 하위 방언인 동북 만다린을 주로 사용한다. 황하 유역 등 중부 지역에서는 산시성과 지리적으로 가까워 중국어의 또 다른 갈래인 진어의 여러 변종이 사용된다. 후허하오터나 바오터우 같은 도시에서는 독특한 진어 방언이 사용되는데, 이는 하이라얼 등 동북부 지역 방언과는 의사소통이 어려울 수 있다.
"내몽골"이라는 명칭은 만주어 'dorgi'(안쪽)에서 유래했으며, 청나라 시기 남부 몽골 지역의 칭기즈 칸 후손들을 가리키던 '내번'(內藩, 内藩|네이판중국어)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현재의 독립 국가인 몽골(과거 중화민국 등에서 외몽골로 지칭)과 구분하기 위한 용어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 방식이 중화중심주의적이라는 비판 때문에, 중국 외부, 특히 몽골 국가의 일부 몽골인들은 "남몽골"이라는 명칭을 선호하기도 한다. 다만 이 명칭이 공식적으로 채택된 바는 없다.[8]
9. 문화
=== 언어 ===
1980년대 이후 내몽골의 410만 명에 달하는 몽골족의 몽골어 사용이 급격히 감소했다.[73] 중국 전체적으로는 약 580만 명(2005년 추산)의 몽골족 중 절반 정도가 몽골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되나, 중국 시민들의 언어 능력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가 없어 중국 내 몽골어 사용자의 정확한 수는 알 수 없다.[74] 중국, 특히 내몽골에서의 몽골어 사용은 지난 수백 년 동안 감소와 부흥을 반복했다. 청나라 말기에 쇠퇴했고, 1947년부터 1965년까지 부흥기를 맞았으며, 1966년부터 1976년까지 다시 쇠퇴했고, 1977년부터 1992년까지 다시 부흥했으며, 1995년부터 2012년까지 세 번째 쇠퇴기를 겪었다.[75]
그러나 내몽골의 일부 도시 지역과 교육 분야에서 몽골어 사용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도시화된 중국어 사용 몽골족의 민족 정체성은 도시 내 민족 공동체의 존재로 인해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76] 내몽골의 다국어 사용 상황이 몽골족의 언어 보존 노력을 반드시 방해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77][78] 투메트족과 같이 일부 몽골인들은 몽골어 구사 능력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상실했을 수 있지만, 여전히 몽골족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자신을 몽골족으로 계속해서 확인한다.[74][79] 몽골족과 중국인의 혼혈 자녀들 또한 자신을 몽골족이라고 주장하며 몽골족으로 등록되는 경우가 많다.[80]
법률에 따라 모든 도로 표지판, 상업 시설 및 정부 문서는 몽골어와 중국어로 된 이중 언어로 작성되어야 한다. 내몽골 위성 TV 네트워크에는 3개의 몽골어 채널이 있으며, 대중교통에서는 모든 안내 방송이 이중 언어로 제공된다.
내몽골의 몽골인들은 다양한 몽골어 방언을 사용한다. 주요 방언으로는 차하르어, 쉴링골어, 바린어, 코르친어, 카르친 몽골어 등이 있다.[81] 정의와 분석에 따라 이들은 중앙 몽골어군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82] 예를 들어 오르도스어, 캄니간어, 바르구 부랴트어, 그리고 논란의 여지가 있는 오이라트어 방언인 알라샤어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중국에서 몽골어의 표준 발음은 내몽골 중부에 위치한 평원 청기의 차하르 방언을 기반으로 하며, 문법은 모든 내몽골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83] 이는 표준 발음이 밀접하게 관련된 할하 방언을 기반으로 하는 몽골 국가와는 다르다.
후룬베이얼 지역에는 몽골어와 다소 거리가 있는 다구르어와 퉁구스어파 언어인 에벤키어 등 여러 독립적인 언어가 사용된다. 공식적으로 에벤키어 방언으로 분류되는 오로친어조차도 별개의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84]
내몽골의 한족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중국어 방언을 사용한다. 동부 지역 사람들은 북동부 만다린을 주로 사용하는데, 이는 만다린 방언에 속한다. 황하 유역과 같은 중부 지역 사람들은 인접한 산시성 등 다른 진어 사용 지역과의 근접성으로 인해 중국어의 또 다른 하위 분류인 진의 여러 변종을 사용한다. 후허하오터와 바오터우 같은 도시에는 장자커우-호화호트 방언과 같이 독특한 진어가 사용되는데, 이는 때때로 하이라얼과 같은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과는 의사소통이 어려울 수 있다.
=== 예술 및 생활 ===
광활한 초원은 오랫동안 내몽골을 상징해왔다. 몽골 예술은 종종 초원을 이상적으로 묘사하고 몽골 유목 전통을 강조한다. 내몽골의 몽골인들은 여전히 전통 예술을 실천하고 있다. 내몽골 요리는 몽골의 뿌리를 가지고 있으며 유제품과 "손으로 잡고 먹는 양고기"(手扒肉zho)로 대표된다. 최근 몇 년 동안 내몽골에서는 훠궈를 기반으로 한 프랜차이즈가 등장했는데, 그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리틀 쉽이다. 주목할 만한 내몽골 상업 브랜드로는 유제품 및 아이스크림 생산업체로 시작한 멍뉴와 이리가 있다.
내몽골의 한족 사이에서는 산시 오페라가 인기 있는 전통 오락 형태이다. 내몽골의 인기 직업 중 하나는 서커스 곡예사이며, 국제적으로 유명한 내몽골 곡예단은 유명한 링링 브라더스 앤 바넘 앤 베일리 서커스와 함께 순회 공연을 하기도 한다.
=== 종교 ===
2004년 중국 민족대학의 조사에 따르면, 해당 지역 인구의 약 80%가 중국 전통에서는 ''천'', 몽골 전통에서는 ''텐거''라 불리는 하늘과 ''오보/아바오''를 숭배한다.[85]
공식 통계에 따르면 인구의 10.9%(약 300만 명)가 티베트 불교 신자이다.[86] 2007년 중국 영적 삶 조사와 2009년 중국 일반 사회 조사에 따르면, 해당 지역 인구의 3.2%가 기독교를, 2.36%가 중국 조상 숭배를 종교적 정체성으로 가지고 있다.[87] 2010년 인구 통계 분석에 따르면, 이슬람교 신자는 0.91%를 차지한다.[88]
다양한 칭기즈칸 사원 형태로 존재하는 칭기즈칸 숭배는 몽골 샤머니즘의 전통으로, 그는 문화 영웅이자 신성한 조상, ''텐거''(하늘, 하늘의 신)의 화신으로 여겨진다.[89] 1980년대 이후 내몽골에서 크게 발전한 특별 사원에서의 그의 숭배는 한족도 함께하는데, 그들은 그의 영혼을 원나라의 건국 원리로 여긴다.[90]
티베트 불교(몽골 불교, 현지에서는 "황색 불교"로도 알려짐)는 내몽골에서 우세한 불교 형태이며, 많은 한족도 믿는다. 중국인들이 믿는 또 다른 불교 형태는 중국 불교의 여러 종파이다.
=== 관련 이미지 ===
10. 교육
내몽골 자치구의 주요 고등 교육 기관은 다음과 같다.
- 네이멍구 대학교(내몽골대학, 內蒙古大學) - 자치구 내 유일한 중점 대학이다.
- 내몽골과학기술대학교
- 내몽골공업대학교
- 내몽골사범대학교
- 내몽골민족대학교
- 내몽골농업대학교
- 내몽골의과대학교
10. 1. 언어 정책 및 항의
중화인민공화국 치하의 내몽골 자치구에서는 역사적으로 몽골어를 교육 언어로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어 왔다. 1979년 인민일보는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사인방의 간섭과 파괴" 이후 몽골어 교육이 재건된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했다.[91]그러나 2020년 여름, 중국 정부는 새로운 교육 정책을 발표했다. 이 정책은 내몽골 자치구의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언어와 문학, 정치, 역사 세 과목의 교육 언어를 기존의 몽골어에서 중국어로 점진적으로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92] 이 정책은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으나, 몽골어 교육을 단계적으로 폐지하려는 움직임으로 받아들여졌다.[35][36][37]
이에 몽골족 공동체는 2020년 8월 31일을 기점으로 대규모 항의 시위를 벌였다. 수천 명의 몽골족 주민들이 거리로 나와 정책 철회를 요구했으며,[92] 교사와 학부모들은 항의했고 학생들은 수업을 보이콧했다. 지역 방송국 직원 약 300명도 파업에 동참했다.[116]
중국 당국은 시위를 강경하게 진압했다. 경찰은 시위 참가자들의 사진을 인터넷에 공개하고, 1인당 1000CNY의 현상금을 걸어 밀고를 장려했다. 또한 거리에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고 휴대 전화와 이메일을 감시하는 등 통제를 강화했다. 이 과정에서 최소 170명 이상이 체포되었으며, 항의 활동은 약 2주 만에 진압되었다.[116] 내몽골 출신 작가 탄루메이는 이러한 상황에 대해 "몽골어 교육을 빼앗긴 미래에는 민족 멸망밖에 없다"고 비판했다.[117]
내몽골 자치구는 법적으로 몽골어를 "제1공용어"로 규정하고 있었지만,[116] 2017년 이후 티베트 자치구와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시행된 동화 정책과 유사하게 몽골족의 동화를 목적으로 몽골어 교육이 축소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116] 중국 정부는 몽골과의 강한 유대감으로 인해 내몽골 자치구가 중국으로부터 분리·독립하는 것을 경계하며, 중국어 교육 강화를 통해 한족으로서의 정체성을 심고 중국 공산당의 일당 독재 체제를 공고히 하려는 의도를 가진 것으로 분석된다.[116][115] 이는 소수 민족이 고유 언어를 사용할 권리를 보장하는 국제인권규약의 정신에 위배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116]
2021년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의 내몽골 자치구 대표단 분과회에 참석한 시진핑 총서기는 소수 민족 동화 정책의 일환으로 표준 중국어 보급을 더욱 강화할 것을 지시하며 이러한 정책 기조를 재확인했다.[119]
11. 관광
'''호흐호트(Hohhot)시'''
- 다자오 사원(Dazhao Temple): 1580년에 세워진 티베트 불교 사원이다. 은으로 만든 석가모니 불상, 정교한 용 조각, 그리고 벽화로 유명하다.[1][2]
- 오탑사(Five-pagoda Temple): 1727년에 건립된 자등사(慈燈寺, Temple of Merciful Light)의 일부였던 건물이다. 징강조 다고바(Jingangzuo Dagoba)라고도 불린다.[3][4]
- 구룬 공주 거경의 저택: 1705년 청나라 강희제가 자신의 딸을 위해 지은 전형적인 청나라 양식의 저택이다.[5]
- 만부화엄경탑(万部华严经塔중국어): 요나라(907~1125) 성종(983~1031) 때 건립되어 현재까지 잘 보존되어 있다.[6]
- 소조사(Xiaozhao Temple): 충복사(Chongfu temple)라고도 하며, 1697년에 건립된 티베트 불교 사원이다. 청나라 강희제가 자주 찾았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7]
- 실리투 자오/시레그투 주 사원(Xilitu Zhao / Siregtu juu Temple): 호흐호트 지역에서 가장 큰 불교 사원으로, 과거 이 지역 티베트 불교의 중심지였다.[8]
- 조군묘: 한나라의 궁녀였으나 기원전 33년 흉노의 혼예선우(Huhanye Shanyu)의 비(妃)가 된 왕조군의 무덤이다.[9]
'''내몽골 자치구 그 외 지역'''
- 바오터우(Baotou)의 도시 초원, [https://factsanddetails.com/china/cat15/sub103/entry-6516.html 사이한탈라](Saihantala): 해발고도 1034m~1058m에 위치하며, 유르트, 신산(神山), 레슬링, 경마 등을 체험할 수 있다.[10]
- 칭기즈칸 능묘: 칭기즈칸의 가묘(cenotaph)로, 오르도스시에 위치해 있다.[11]
- 바샹 초원: 베이징 근교 국경에 위치하며, 도시민들이 초원 생활을 경험하기 위해 즐겨 찾는 휴양지이다.[12]
- 허커텅 글로벌 지오파크: 아르시하티 석림(Arshihaty Stone Forest)은 자연 침식으로 형성된 웅장한 화강암 지형을 볼 수 있는 곳이다.[13]
- 샹샤완: 고비 사막에 위치한 "노래하는 모래 협곡"으로, 모래썰매와 낙타 타기 등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다.[14]
- 닝청 현의 요나라 중경(중앙 수도, Zhongjing) 유적: 요나라(907~1125) 성종이 1003년에 건설한 수도 유적이다.[15]
- 요나라 상경(상부 수도, Shangjing) 유적: 요나라(907~1125)의 초대 황제 야율아보기가 918년에 건설했다. 황도(Huangdu)라고도 불리며, 요나라 5대 수도 중 하나였다.[16]
- 야율아보기 졸릉(Zuling Mausoleum): 요나라 초대 황제 야율아보기를 위해 926년에 건립되었으며, 스팡즈(Shifangzi) 마을 북서쪽에 있다.[17]
- 주연 목간: 한나라(기원전 206년~서기 220년) 시대의 목재와 대나무에 새긴 기록이다. 1930년 중국-스웨덴 탐험대의 폴크 베르그만(Folke Bergman)이 고비 사막 에진기에서 처음 1만 점을 발견했다.[18][19]
- 상도 유적: 1256년 쿠빌라이 칸이 건설한 몽골 제국 원나라의 여름 수도 유적이다.[20]
- 통리아오 카이루 현의 백탑: 원나라(1279~1368) 시대에 지어진 탑으로, 현재까지 잘 보존되어 있다.[21]
- 차간호토(查干浩特중국어) 유적: 마지막 몽골 대칸 링단 칸(1588~1634)의 수도 유적으로, 아르 호르친 기에 위치해 있다.[22]

중국의 우주선 발사 시설 중 하나인 주취안 위성 발사센터는 내몽골 서부 알샤 맹의 에진기에 위치한다. 1958년에 설립되어 중화인민공화국 최초의 위성 발사 기지가 되었다. 2021년 기준으로 중국 내 다른 어떤 발사 시설보다 많은 발사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인 우주 임무(선저우 계획)를 위한 유일한 발사장이다. 지리적으로는 내몽골 자치구 내에 있지만, 이름은 인근 간쑤성의 가장 가까운 도시인 주취안에서 따왔다. 군사 시설이기 때문에 핵심 지역은 출입이 엄격히 제한되며, 센터에서 운영하는 관광 버스를 통해서만 방문할 수 있다. 방문객 센터는 일반인에게 공개되며 남문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23][24]
내몽골 자치구에는 중국의 유일한 두 곳의 우주선 착륙장인 울란차브의 스쯔왕 기 착륙장과 알샤의 동풍 착륙장이 있다.[25][26]
참조
[1]
웹사이트
Doing Business in China Survey
http://english.mofco[...]
Ministry Of Commerce –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3-08-05
[2]
웹사이트
Communiqué of the Seventh National Population Census (No. 3)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021-05-11
[3]
웹사이트
China
http://www.ethnologu[...]
[4]
웹사이트
National Data
https://data.stats.g[...]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024-03-01
[5]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Indices (8.0)- China
https://globaldatala[...]
2024-09-23
[6]
웹사이트
Tabulation on the 2010 Population Censu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www.stats.gov[...]
2013-05-07
[7]
뉴스
China's push to create a single national identity
https://www.economis[...]
2023-09-14
[8]
논문
The history and political character of the name of 'Nei Menggu' (South Mongolia)
2004
[9]
서적
History of Mongolia
2003
[10]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11]
서적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12]
서적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13]
논문
Land Use and Society in Manchuria and Inner Mongolia during the Qing Dynasty
2000-10-01
[14]
서적
Bulag 2012
https://books.google[...]
[15]
서적
Nomads on Pilgrimage: Mongols on Wutaishan (China), 1800–1940
https://books.google[...]
BRILL
2015
[1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Doctor of Philosophy in the Department of Central Eurasian Studies, Indiana University
Mongolization of Han Chinese and Manchu Settlers in Qing Mongolia, 1700–1911
https://www.proquest[...]
ProQuest LLC
2017-06-01
[18]
서적
Reins of Liberation: An Entangled History of Mongolian Independence, Chinese Territoriality, and Great Power Hegemony, 1911–1950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6
[19]
논문
The Complex Structure of Ethnic Conflict in the Frontier: Through the Debates around the 'Jindandao Incident' in 1891
2004
[20]
서적
The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21]
서적
The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22]
간행물
Anti-Chinese rebellion led by Babujav in Inner Mongolia, 1915–1916
1996
[23]
서적
Rossiya i Mongoliya (1911–1919)
Vost. Lit. Publ.
[24]
서적
Modern China's Ethnic Frontiers: A Journey to the West
Routledge
2010-09-13
[25]
서적
Modern China's Ethnic Frontiers: A Journey to the West
Routledge
2010-09-13
[26]
서적
Modern China's Ethnic Frontiers: A Journey to the West
Routledge
2018-05-24
[27]
논문
The Impact of the Cultural Revolution in China on the Mongolians of Inner Mongolia
1994-05-01
[28]
서적
The Cultural Revolution: A People's History, 1962–1976
Bloomsbury Publishing USA
2016
[29]
서적
China's Contained Resource Curse: How Minerals Shape State-Capital-Labor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30]
웹사이트
Ethnic Mongolians in China concerned about cultural threat
https://edition.cnn.[...]
2012-04-19
[31]
웹사이트
Ordos, China: A Modern Ghost Town
https://content.time[...]
[32]
뉴스
Ordos: The biggest ghost town in China
https://www.bbc.com/[...]
2012-03-17
[33]
웹사이트
Inner Mongolians culture clash
http://edition.cnn.c[...]
2012-04-18
[34]
웹사이트
China Launches 'Strike Hard' Anti-Rumor Campaign in Inner Mongolia
http://www.rfa.org/e[...]
2013-09-05
[35]
뉴스
Chinese authorities face widespread anger in Inner Mongolia after requiring Mandarin-language classes
https://www.washingt[...]
2020-08-31
[36]
뉴스
Curbs on Mongolian Language Teaching Prompt Large Protests in China
https://www.nytimes.[...]
2020-08-31
[37]
뉴스
Mass Protests Erupt as China Moves to End Mongolian-Medium Teaching in Schools
https://www.rfa.org/[...]
2020-08-31
[38]
논문
Quaternary glacier develop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mate change and tectonic uplift in the Helan Mountains
https://link.springe[...]
2012-12
[39]
논문
Updated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https://upload.wikim[...]
2007
[40]
웹사이트
Community threads together
https://www.chinadai[...]
2024-07-14
[41]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县以上行政区划代码
http://files2.mca.go[...]
Ministry of Civil Affairs
2015-04-07
[42]
서적
《深圳统计年鉴2014》
http://www.sztj.gov.[...]
China Statistics Print
2015-05-29
[43]
서적
中国2010人口普查分乡、镇、街道资料
China Statistics Print
2012
[44]
서적
《中国民政统计年鉴2014》
China Statistics Print
2014-08
[45]
웹사이트
中国统计年鉴—2018
http://www.stats.gov[...]
[46]
서적
中国2020年人口普查分县资料
China Statistics Print
2022
[47]
서적
中国2010年人口普查分县资料
China Statistics Print
2012
[48]
웹사이트
中国城市建设统计年鉴2018
http://www.mohurd.go[...]
China Statistic Publishing House
2019
[49]
웹사이트
PetroChina Xifeng Oilfield Reserves Hits 568mn Tons
http://sip-trunking.[...]
tmcnet.com
2007
[50]
웹사이트
China Economy @ China Perspective
http://www.thechinap[...]
[51]
웹사이트
People's Daily Online – Inner Mongolia to double annual coal output by 2010
http://english.peopl[...]
[52]
웹사이트
National Data
https://www.nmg.gov.[...]
neimenggu.gov.cn
2024-03-21
[53]
웹사이트
China's Expanding Missile Training Area: More Silos, Tunnels, and Support Facilities
https://fas.org/blog[...]
[54]
웹사이트
Baotou National Rare-Earth Hi-Tech Industrial Development Zone
http://www.rev.cn/en[...]
[55]
웹사이트
RightSite.asia | Hohhot Export Processing Zone
https://web.archive.[...]
[56]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国家统计局关于第一次全国人口调查登记结果的公报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57]
웹사이트
第二次全国人口普查结果的几项主要统计数字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58]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国家统计局关于一九八二年人口普查主要数字的公报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59]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国家统计局关于一九九〇年人口普查主要数据的公报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60]
웹사이트
现将2000年第五次全国人口普查快速汇总的人口地区分布数据公布如下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61]
웹사이트
Communiqué of the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on Major Figures of the 2010 Population Census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62]
뉴스
FACTBOX-Key takeaways from China's 2020 population census
https://www.reuters.[...]
2021-05-11
[63]
서적
Demography and national security
2001
[64]
웹사이트
内蒙古自治区第七次全国人口普查公报(第一号)-第七次全国人口普查-内蒙古自治区统计局
http://tj.nmg.gov.cn[...]
[65]
서적
Mongolia in the Twentieth Century
Rutledge
1999
[66]
논문
Unequal Marriage Exchange Between Majority and Minority Groups: A Case Study From Inner Mongolia, China
http://www.davidpubl[...]
2015-05
[67]
서적
Nationalities Publishing House (民族出版社)
[68]
서적
China Financial and Economic Publishing House (中国财政经济出版社)
[69]
웹사이트
http://www.nmgtj.gov[...]
Inner Mongolia Autonomous Region Bureau of Statistics
[70]
서적
Publishing House of Minority Nationalities
[71]
웹사이트
http://www.nmgtj.gov[...]
2013-06-04
[72]
웹사이트
http://www.kyzq.gov.[...]
2020-04-24
[73]
서적
Language Power and Hierarchy: Multilingual Education in China
Bloomsbury Academic
2014-10-27
[74]
서적
Mongolian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2-11-29
[75]
서적
Language Power and Hierarchy: Multilingual Education in China
Bloomsbury Academic
2014-10-27
[76]
서적
China's Minorities on the Move: Selected Case Studies
2003-08-02
[77]
서적
Mongolian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2-11-29
[78]
서적
More Morphologies: Contributions to the Festival of Languages, Bremen, 17 Sep to 7 Oct, 2009
2012-11-30
[79]
서적
China's Minorities on the Move: Selected Case Studies
Routledge
2003-08-02
[80]
서적
Mongolian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2-11-29
[81]
간행물
Mongγul kelen-ü nutuγ-un ayalγun-u sinǰilel-ün uduridqal
ÖMAKQ
2005
[82]
간행물
Mongolic languages
Elsevier
2006
[83]
간행물
2005
[84]
간행물
The languages of Manchuria in today's China
1997
[85]
서적
Social Scientific Studies of Religion in China
BRILL
2012
[86]
논문
Study on the Protection of the Lama Temple Heritage in Inner Mongolia as a Cultural Landscape
2016-01
[87]
웹사이트
Xiuhua Wang (2015, p. 15)
https://baylor-ir.td[...]
2015
[88]
웹사이트
The Pres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Islam in China
https://doors.doshis[...]
2010
[89]
서적
Genghis Khan: Life, Death and Resurrection
Bantam Press
2004
[90]
서적
Genghis Khan
Bantam
2005
[91]
뉴스
1979-01-07
[92]
뉴스
Curbs on Mongolian Language Teaching Prompt Large Protests in China
https://www.nytimes.[...]
2020-08-31
[93]
웹사이트
Tabulation on the 2010 Population Censu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www.stats.gov[...]
[94]
서적
内モンゴルを知るための60章
https://www.worldcat[...]
明石書店
2015
[95]
서적
内モンゴルを知るための60章
https://www.worldcat[...]
明石書店
2015
[96]
서적
詳説世界史B
https://www.worldcat[...]
山川出版社
2017-03
[97]
서적
内モンゴルを知るための60章
https://www.worldcat[...]
明石書店
2015
[98]
기타
[99]
서적
モンゴル史
恒文社
1988
[100]
간행물
我所知道的徳王和當時的内蒙古
1993
[101]
웹사이트
モンゴル自由連盟党とは?
http://www.lupm.org/[...]
モンゴル自由連盟党
[102]
뉴스
アジアに求められる先人の知恵 胡耀邦氏はチベット、ウイグルなど「連邦制」を模索していた 文化人類学者・静岡大学教授・楊海英
https://www.sankei.c[...]
2018-01-17
[103]
뉴스
習近平が「中国人嫌い」な“あの国”を訪問した意図とは?
https://nikkan-spa.j[...]
2014-08-29
[104]
뉴스
狙いは民族抹消、中国が「教育改革」称してモンゴル人に同化政策
https://jbpress.isme[...]
日本ビジネスプレス
2021-06-23
[105]
서적
The Mongols at China's Edge: History and the Politics of National Unit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06]
웹사이트
Ethnic Mongolian Dissident Released by China Is Missing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0-12-31
[107]
웹사이트
チンギス・ハーンの画像踏みつけた19歳に実刑、その背景
https://www.news-pos[...]
NEWSポストセブン
2018-01-04
[108]
웹사이트
Chinese man jailed for stamping on Genghis Khan portrait
http://www.bbc.co.uk[...]
BBC
2018-01-04
[109]
웹사이트
「鬼しか住まぬ」中国オルドス 石炭バブルが崩壊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10-29
[110]
웹사이트
Inner Mongolia's economy maintains a rapid growth momentum
http://en.people.cn/[...]
人民日報
2019-10-29
[111]
웹사이트
内モンゴル風力発電容量2070万キロワットで堅首
https://web.archive.[...]
フジサンケイビジネスアイ
2019-10-29
[112]
웹사이트
中国:内モンゴルの風力発電容量、「三峡ダム」を超える規模に
http://www.newsclip.[...]
newsclip
2019-10-29
[113]
간행물
规范社会市面蒙汉两种文字并用工作
内蒙古日报
2014-12-23
[114]
웹사이트
習主席、同化政策を強化 内モンゴルで標準中国語の推進を指示
https://www.afpbb.co[...]
AFP
2021-03-06
[115]
뉴스
社説 中国語教育強化 少数民族の抑圧は許されない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0-09-28
[116]
뉴스
狙いは民族抹消、中国が「教育改革」称してモンゴル人に同化政策
https://jbpress.isme[...]
日本ビジネスプレス
2021-06-23
[117]
뉴스
狙いは民族抹消、中国が「教育改革」称してモンゴル人に同化政策
https://jbpress.isme[...]
日本ビジネスプレス
2021-06-23
[118]
뉴스
内モンゴルで勤務した首相候補の憂鬱 北京ダイアリー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1-08-06
[119]
뉴스
内モンゴル「中国語教育を」習氏指示 少数民族同化の一環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1-03-07
[120]
웹사이트
砂漠を貫く世界最長の高速道路 内モンゴル区間が貫通
http://jp.xinhuanet.[...]
新華網
2019-10-29
[121]
웹사이트
内モンゴルが初めて全国高速鉄道ネットワークに接続
http://jp.xinhuanet.[...]
新華網
2019-10-29
[122]
웹인용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123]
웹인용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124]
웹인용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125]
웹인용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126]
웹인용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127]
웹인용
Communiqué of the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on Major Figures of the 2010 Population Census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